우리 군은 군사위성이 없어서 북한의 움직임을 미국에 의존합니다. 문재인 대통령이 서두르는 전작권을 환수를 위해서라도 이런 군사위성은 꼭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첫 위성부터 문제가 생겼습니다. <br /> <br />최선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. <br /><br />[리포트]<br />군 당국은 군사위성 5기를 도입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 예산 1조 2500억 원이 투입됩니다. <br /><br />[국군의 날 기념행사 (어제)] <br />"우리가 전시작전권을 가져야 북한이 우리를 더 두려워하고, 국민은 군을 더 신뢰하게 될 것입니다." <br /> <br />전작권을 조기에 돌려받기 위해선 우리 소유의 위성으로 북한 땅을 들여다 볼 수 있어야 합니다. <br /><br />하지만 2013년 군이 정한 성능으로는 전시에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상황이 이런데도 군 당국은 문제점 가운데 극히 일부만 수정해 사업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<br />군의 계획에 따르면 군사위성은 2시간 간격의 감시 공백을 보입니다. <br /><br />상당한 규모의 위성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가 느려 정보를 얻기 쉽지 않고, 특히 전시 상황에서는 이동식 분석 차량이 데이터를 수신하기 어려워 무용지물이 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병기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 />"위성 영상 데이터를 지상으로 원활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ROC(성능) 수정과 전폭적인 예산 지원이 필요합니다." <br /> <br />군사 위성이 우주 공간에 자리잡은 이후엔 성능을 수정하기 어려워 보완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채널A 뉴스 최선입니다. <br /> <br />최선 기자 beste@donga.com <br />영상취재: 한일웅 이승헌 <br />영상편집: 김지균 <br />그래픽: 김승훈 조한규